'DI'를 아시나요? 1


● 이세영 / 연합뉴스 영상취재부 기자
(seva@yna.co.kr)

필자는 10년전 뮤직비디오 조연출을 한 적이 있다. 고교 선배의 작품이었는데 사실상 필자가 최초로 참여한 상업
영상이라 할 수 있는 작업이었다. 베타캠으로 무박 3일정도 촬영을 하고 하루 정도 쉰 다음 가편집을 한 후 종편실
로 달려가던 선배의 바쁜 모습이 떠올려지는데 종편실에 가면서 반드시 거치는 과정이 있었으니 그것이 바로
'색보정'이었다.

색보정(color correction)이란 사실상 색을 돌리는 것으로만 알고 있던 일자무식하던 시절의 필자는 대체 왜 저런
과정을 거쳐야만 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을 떨쳐버릴 수 없었다. 촬영을 할 때 그러한 분위기를 내서 찍으면
될 것이 아닌가 하는 초보 영상인의 고민이었던 것이지만 실제로 많은 영상 지망생들의 고민으로 사료된다.
필터를 넣고 조명을 그러한 분위기로 놓고 찍으면 되겠거니 했지만 영상의 분위기와 느낌-처음 화면을 접했을 때
받는 느낌은 불변의 것이므로-은 화면 자체의 회화적 느낌을 살려야 하므로 정확하게 표현해주는 것이 맞는 것
으로 결론을 내리게 됐다. 한국방송촬영감독협회 회장이며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2004)의 촬영감독인 정연두
감독은 KBI의 HD셋업 과정에서 카메라 자체의 세팅 값을 설정해 특별한 분위기를 내서 찍는 것은 후반작업의
디폴트를 미리 그러한 분위기로 잡아 놓거나 한 장면 한 장면 그 느낌으로 색보정을 할 것이라면(시간이 없는 것
도 큰 문제임) 칼라 셋업 조정이 필요하다고 밣힌 바 있다. 정 감독의 말처럼 유연한 사고방식과 프로젝트의
안정적 수행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서라면 그 또한 필요한 내용일 것이다. 어느 순간 찍을 때 최대한 노말로 찍고
나중에 색을 돌려야지 하는 것이 절대적 진리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서두가 다소 길었고 '색보정'의 추억을 늘어놓았던 것은 DI 작업의 출발이 많은 부분 위와 같은 고민에서 시작
됐기 때문이다. 'DI'(Digital Intermediate)는 작업 과정의 의미이기도 하지만 콴텔사의 후반작업 장비인 'iQ'나 'eQ'의
주요한 기능을 나타내는 용어이기도 하다.

영화 필름 작업 과정



1990 년대 후반까지의 영화 필름 편집과정

색보정(color correction)은 영화 필름 편집과정에서는 색조정(color grading)의 의미이다. 즉 어떤 영화이든 간에
색조정은 반드시 필요한 작업과정이다. 촬영된 Original Negative Film을 전량 16mm Positive Film으로 축소
프린트 필름으로 복사하고, Steen Beck 장비를 이용하여 필름 편집 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 16mm Positive 현상 및 16mm 필름 비용 부담. 
- 필름 편집 방식으로 인한 편집의 불편함.

요즘의 영화 편집과정도 위와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현재의 영화 필름 편집 과정

촬영된 Original negative Film을 Key-Code Telecine한 후 Film Composer 편집 장비를 활용한 Video 편집을 함으로서,
편집의 편리함, 수월성 및 수정이 용이하다는 점이 주요한 차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불과 몇 년
사이에 Steen Beck 편집에서 Video편집으로 한국영화의 편집이 전량 전환됐다. 여기에 추가된 것이 color grading 상
DI작업이다.

후반작업을 추가한 상황의 편집작업 과정을 살펴보면,



C/G, 영상 합성, 효과 분야의 영화 필름 작업 과정

이 과정을 보면 3D Graphic, Video Effect. Composite 부분이 첨가 돼 영상의 이미지 합성 효과를 위해, Post-
Production 의 분야에 상당 범위 의존하게 되는 계기 시작됐다. DI가 반드시 들어가야 되는 과정을 다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최근의  영화 필름 작업 과정 추세

영사되는 색조의 상승을 위하고, 표현하고자 하는 색조의 질감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DI 과정이 최근 활발히 확산
되는 추세다. 콴텔 측은 국산영화의 30-40%를 DI 방식으로 제작, 향후 1-2년 후 전편 DI 방식 도입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DI작업의 산업적 의미

영화 분야의 영상에 관한 범위 중,  2D/3D Graphic 분야와 Editing에 관한 분야는 상당히 오래 전부터 진행이 되어
온 관계로서 그 신규 사업으로 하기에는 기존의 업체 등으로 인하여 그 부가가치성이 그     리 밝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영화 영상의 범주에서 2D/3D Graphic 분야가 갖고 있는 영상 시장의 매출은 영화의 성격에 따라서(S/F.
Animation, 등 영상 합성 처리가 많이 소요되는 영화) 꾸준히 발전 할 가능 성은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Graphic처리를 하기 위하여는 다수의 장비와 다수의 인원이 필요하며 제작 기간 또한 장기간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
상대적으로 사업의 위험성도 따른다.

1-2년 전부터 세계적 추세로 각광 받고 있는 DI 분야는 영상의 질의 향상과, Digital Cinema 추세에 맞춰서 그 호응도가
높아져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필름 현상소를 비롯한 몇몇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DI 작업은 소수의 인원으로 가능하며, 추후에 Graphic, Editing를 위한 전형적 Post-Production으로의 발전과 확장에도
그 유리함이 있다 하겠다.

RenderFarm으로 대표되는 3D 후반작업의 영역은 수많은 그래픽 아티스트들과 속칭 '디지털 노가다'의 결정체이다.
그러나 DI는 위에서 언급한대로 소수의 인원들이 정확한 데이터와 경험을 살려 컬러의 값들을 적용해 퍼포먼스를 낸다.

DI (Digital Intermediate)의 근본적 의미

Digital Intermediate의 근본적 의미는 본디 Color Correction의 의미로서 생성 된 것은 아니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다양한 영상 Format 의 입력에 있어서, 이를 어느 하나의 영상 Format에 맞추어서 편집 혹은
영상 가공 작업을 하기 위하여는 원하고자 하는  동일 Format으로 변환 (Converting)하는 과정을 거친 후에, 영상
편집 등의 영상 가공 작업을 수행하여야 했으며, 또한 어느 하나의 영상 Format으로 영상 가공 작업이 된 영상물을
다양한 영상 Format으로 활용하기 위하여도 영상 Format   변환 과정 을 거쳐야 만 했던 것이다.



※ 자료제공 / 디지털 매직, 콴텔 코리아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