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를 아시나요? 2


● 이세영 / 연합뉴스 영상취재부 기자 (seva@yna.co.kr)

DI (Digital Intermediate)의 근본적 의미-2

이러한 영상 Format의 입력과 출력에 관한 변환 과정은 작업의 번거로움과, 다양한 영상 Format에 대응하는 장비의 구비가 뒤따라야 했으며, 이로부터 발생하는 화질의 저하 또한 무시할 수 없었다.

영국의 Non-Linear Editing 장비 제작사인 콴텔사에서 처음 쓰기 시작했던 DI의 의미는 편집 및 영상 합성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영상 작업 장비에서 변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여러 형태의 영상 Format의 입력으로 간편하게 영상 가공 작업을 한 후 다양한 Format으로 출력 하는 의미로 쓰인 것이 그 효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근간에 들어서 영화 영상의 품격의 향상으로 인한 아날로그 색보정 작업으로부터  디지털화가 급속히 발전 하고, 또한 Digital Cinema의 추세에 맞춰서 일반적 영상 장비 제작사들이 DI라는 용어를 흔히 쓰기 시작하고부터, 이제는 보편 타당하게 Digital Color Correction의 작업을 DI 라고 부르게 되었던 것이다.

이제, 일반적으로 불려지고 있는 DI라는 과정, 혹은 DI 용도의 장비가 갖추어야 할 기능은 크게 아래의 세 가지의 기능으로 함축 할 수가 있다.

Color Correction (Color Grading)
Editing
Format Converting (Sizing)

고화질 HD Format을 활용한 영화의 등장은 필름이 아닌 Video Tape나 메모리 방식의 영화 촬영이 시작됐음을 의미하며, 이는 영상 편집 시스템에서의 편집이 이루어 져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디지털 시네마를 위한 영상의 전송 방식 및 영상 Format의 결정은 결국 Format 자체의 변환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기능들은 주기능인 Digital Color Grading 기능을 위해  DI 장비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기능이라 해야 할 것이다.

색보정 뿐 아니라 동시에 합성작업까지 



영화 '사랑따윈 필요없어'의 저택 장면 - 색보정 및 합성 작업 전 (사진제공 콴텔코리아)

'추격자', '미인도', '쌍화점' 등의 작품의 DI 작업과 필름 후반작업을 맡았던 스타이스트는 DI작업의 전형적인 예를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색보정을 하는 과정 중에 이 특정 샷에서 화면 왼편 나무가 듬성듬성 심어져 있는 부분에 나무를 심어줬으면 하는 감독의 요구사항이 있었다고 한다.
(스타이스트 관계자는 이런 부분은 DI작업 전에 CG파트로 따로 넘겨서 해야 했던 작업이라고 밝혔다)



'사랑따윈 필요없어'의 저택 장면 - 색보정 및 합성 작업 후

색보정을 하면서 동시에 화면 왼쪽 부분에 나무를 심는 합성 작업을 했다. 이처럼 DI 는 '색보정'에만 국한 된 것이 아니라 합성작업까지 영화적 '문맥안에서' 원본 해상도로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랙티브한 후반 작업이 가능하다. 

낮에 찍은 화면을 밤씬으로 만들다 – Day for night 



day for night 작업 전(약간 어둑해질 때 촬영한 원본)

day for night은 말 그대로 낮을 밤처럼 보이게 한다. 10년전 제작된 영화 '유령'의 'Dry for wet'(바다 속 장면을 위해 건조한 환경을 만들어 심해 속의 잠수함을 찍은 기법)과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면 된다. 콴텔코리아의 강정화 대리는 "영화 촬영 환경에서는 낮에 찍은 씬을 밤씬으로 돌려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영화에서도 이런 작업을 많이 했다."라면서 DI의 필름촬영기법 대체 가능성을 언급했다. 



day for night  작업 후(전체적으로 더 환상적 분위기를 내고 톤을 바꾸며 밤씬으로 바꾸는 작업) 

콴텔코리아의 강정화 대리는 "이처럼 DI로 하는 색보정 작업은 잘못된 색 영역을 '고치는' color correction 뿐 아니라, 부분적인 색보정, 낮에 촬영한 화면을 밤씬으로 돌리는 등의 다양한 작업도 포함한다."며 "더불어 본격적인 합성 작업까지도 DI 과정 중에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필름으로 촬영한 것을 필름 스캔을 거쳐 DI 후 다시 최종적으로 필름으로 프린트 하는 과정이 현재의 영화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이다.

DI (Digital Intermediate)의 구체적 의미

'DI를 아시나요-1'에 언급했던 Color Grading은 최종 편집이 완성된 Negative Film에서 영사용 Positive film을 복사하기 위한 전 단계로 편집된 Original Negative Film은 촬영 조건과, 주변 환경 및 실내, 실외 등 여러 사유에 의해서 일정한 색조의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지 않다.

한편의 영화를 일정한 색감과 색조로 맞추기 위하여 각 Scene 마다 색감을 조절해 주어야 하는 필요성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Color Grading이라 한다.

하지만 이 Color Grading 절차는, 필름 현상소에서 영사를 하기 위한  Positive Film을 복사하기 위하여는 필히 거쳐야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이러한 Color Grading 과정이 있는 필름 작업 과정이 포함된 범위에서는 필름 현상소에서 진행돼왔던 과정이다.

또한 이 Color Grading 과정은 각 Scene의 R.G.B를 조정하게 되는 것인데, 이 조정의 범위는 일정한 한계를 갖고 있으며, 그 정밀도도 상당히 떨어지는 방법이다.

그리하여 최근의 영화 제작의 추세는, 좀더 섬세하고 정밀한 색감과 색조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해상도 및 고단위의 Color Correction 작업 과정을 거치는 추세인데 이러한 작업 과정을 DI (Digital Intermediate) 라고 한다.

여기에 활용되는 Color Corrector는 HDTV 급 이상의 고화질과 고해상도를 제공하는 장비로서 영화 영상의 색감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현재 국산영화 제작 편수의 20-30% 가 이러한 작업 과정을 거쳐서 개봉이 되고 있다.    

DI (Digital Intermediate)는 진보된 Color Grading 이라 말할 수 있는데 이러한 DI 과정을 거치면서 원하는 색조의 분위기 영상을 제공 함으로서 의도하고자 하는 영화 영상의 제공과 사람들의 수준 높은 영상 수준에 일조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과거 필름 현상소에서 Color Grading을 무상으로 제공해왔던 사실에 비추어 적정한 작업 비용의 청구가 어려웠던 시절도 있었으나, 근래에 들어서, 감독의 요구와 제작사의 인식의 변화로 인하여 적정한 작업비용의 청구가 이뤄지고 있는 추세라 하겠다. 

2005년도 영화 진흥 위원회애서 통계 조사 발표된 자료에 있는  Video Effect 시장 규모 (60억)는 이러한 DI 과정에 대한 작업 비용이 대폭 누락되어 있는 범위이며, 대부분이 2D/3D Graphic에 관한 범위라 하겠다.

근래에 들어서 활성화 되어가는 DI 추세는 영화 작품당 5천-7천만원 정도의 작업 비용을 산출하고 있으며, Steen beck을 이용한 16mm 축소 프린트 편집 방식에서 Film Composer를 활용한 Video 편집으로의 전환 과정이 불과 2-3년 사이에 전면 바뀐 것을 감안하면 향후 1-2년 사이에 전면 DI 작업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예견이다.       

DI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잠재성은 비록 DI 작업 뿐만 아니라, Graphic System과의 연계성 등에도 탁월한 편리성 등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DI (Digital Intermediate)의 필요성

-  Color Grading 작업 시, 원본 Negative 필름의 해상도(3K)에서 최종 영사용 Positive 필름으로 복사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급격히 감소하는  해상도(1K) 저하의 보상.
-  필름 현상소에서 제공되는 Color Grading보다 고품질, 고단위의 Color Correction 제공으로 색감과 심도의 증대.
-  Video Effects, Composite, Graphic의 수월한 제공으로 영상 효과 처리의 수월.
-  Network 혹은 소형 디스크를 통한 영상의 전달로 영사 매체 전달의 수월.
-  필름 보관 대신에 데이터 보관 함으로서 영상 매체의 변화(HDTV, 블루레이 등) 및 다양성에 원활한 대비 효과.
-  사람들의 영상 인식 수준의 향상에 부응.
-  Digital Cinema의  보편적 보급 확산으로 인한 영상의 디지털 처리.
-  Digital Project의 발광 영사 소자의 발달로 고해상도(2K) 이상의 영사 가능.

DI (Digital Intermediate)의 빈도

-  대기업이 운영중인 영화관의 (CJ 등) Digital Projector 설치.
-  영화 진흥 위원회의 Digital Theater 지원 예산
-  최근 제작되는 국산영화의 DI 작업 빈도 20-30% 추산
-  시장 규모
     DI = 50억 , Video Effect = 70억, 편집 = 60억  규모 예상
     DI 에 관한 영상 시장 확대 발생 예상
     DI 작업 비용 = 영화 한편 당 5,000-7,000만원.
-  향후 1-2년 내 대부분의 국산영화 DI 작업 예상 (저예산 영화 제외)
-  Digital Theater로의 세계적 전환 추세에 따른 디지탈화 자료의 사전 준비 확보에 관한 필요성 증가.

DI (Digital Intermediate)의 완성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특임교수이자 수많은 한국 방송콘텐츠 포맷의 원전을 개발한 원로 방송인인 표재순 교수는 "최고의 특수효과는 스토리다"라고 밝힌 바 있다.

영화 '굿윌 헌팅'의 촬영을 마치고 가진 인터뷰에서 감독 구스 반 산트도 "이 영화의 VFX(비쥬얼 특수효과)는 대사다"라고 말했다. 스필버그 감독 역시 "가까운 장래에는 내가 쓰는 카메라나 일반인이 쓰는 카메라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콘텐츠 연출의 대가들이 모두 강조하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이 나오던 시절의 스토리 텔링 원칙이나 지금이나 별반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즉, DI는 이러한 스토리를 효과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일종의 극적 장치이다.

지금까지 2회에 걸쳐 DI에 관해 연재를 했지만 모든 콘텐츠의 핵심은 스토리라는 것을 다시금 강조한다. 그러나 DI가 없었다면 우리는 영화 '추격자'에서 주인공 엄중호가 뛰어다니는 골목길의 스산함을 덜 느꼈을 것이며 '반지의 제왕'에서의 중간계를 뉴질랜드로 깊게 인식하고 봤을 수도 있다. 이런 의미에서 DI의 완성은 상상력과 창의력을 바탕으로 한 크리에이티브의 연장선이라고 할 수 있고 바로 여기에 DI의 진정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Designed by JB FACTORY